실손보험 주요 통계

1.개요

실손의료보험(이하 “실손보험”)은 피보험자(환자)가 부담의료비[급여 본인부담금+비급여]의 일정 금액을 보상하는 보험상품*
국민건강보험의 보완형으로 도입, 국민의 사적(私的) 사회 안전망 역할 수행
보험가입자 비교
실손보험(명)
자동차보험(대)
국민건강보험(가입자)
3,997만명(’23년말 기준)
2,541만대(’23년말 기준)
5,145만명(’23년말 기준)
판매시기, 보장구조 등에 따라 1세대(舊실손), 2세대(표준화실손), 3세대(新실손), 4세대기타(노후, 유병력자) 실손 등으로 구분

2. 주요 현황

※ 총 보유계약의 0.03%만을 차지하고 있는 단체실손실적에서 제외
□(보유계약)’23년말 보유계약3,579만건으로, 전년(3,565만건) 대비 14만건(+0.4%) 증가
보유계약 현황(단위 : 만건)
’21년말
’22년말(A)
’23년말(B)
증감(C=B-A)
증감률(C/A)
전체
3,550
3,565
3,579
14
0.4%
생보사
621
614
606
△8
△1.3%
손보사
2,929
2,951
2,973
22
0.7%
□(보험료수익)’23년 보험료수익14.4조원으로, 전년(13.2조원) 대비 1.2조원(+9.5%) 증가
보험료 수익 현황(단위 : 억원)
’21년
’22년(A)
’23년(B)
증감(C=B-A)
증감률(C/A)
전체
116,447
131,885
144,429
12,544
9.5%
생보사
20,315
23,319
25,808
2,489
10,7%
손보사
96,131
108,566
118,621
10,055
9.3%
□(보험손익) ’23년 보험손익(보험료수익–발생손해액–실제사업비)은 △1.97조원으로 적자폭이 전년(△1.53조원) 대비 0.44조원 증가
※ 생보 : 전년 대비 0.05조원 이익 감소 [’22년 0.06조원 → ’23년 0.01조원] 손보 : 전년 대비 0.39조원 손실 증가 [’22년 △1.59조원 → ’23년 △1.98조원]
보험손익 현황(단위 : 억원)
’21년
’22년(A)
’23년(B)
증감(C=B-A)
증감률(C/A)
전체
△28,581
△15,301
△19,738
△4,437
△29.0%
생보사
△1,694
591
91
△500
△84.6%
손보사
△26,887
△15,892
△19,829
△3,937
△24.8%
□(손해율) ’23년 경과손해율(발생손해액/보험료수익)은 103.4%로 전년(101.3%) 대비 2.1%p 증가
※ 생보 : 전년 대비 1.7%p 증가 [’22년 84.7% → ’23년 86.4%]
손보 : 전년 대비 2.3%p 증가 [’22년 104.8% → ’23년 107.1%]
경과손해율 현황
’21년말
’22년말(A)
’23년말(B)
증감(C=B-A)
전체
113.1%
101.3%
103.4%
2.1%p
생보사
94.0%
84.7%
86.4%
1.7%p
손보
117.2%
104.8%
107.1%
2.3%p

3.주요 특징

□(의료기관별 비중) 전체 지급보험금 중 의원비중(32.9%)이 가장크기는 하나, 백내장 수술 감소 등으로 전년 대비 하락
전체 실손보험금 상위 5개 의료기관종별 비중
’21년
’22년
’23년
항목
비중
항목
비중
항목
비중
의원
36.6%
의원
36.2%
의원
32.9%
병원
22.9%
병원
22.5%
병원
23.0%
종합병원
15.1%
종합병원
15.3%
종합병원
16.8%
상급종합병원
14.6%
상급종합병원
14.9%
상급종합병원
16.0%
요양병원
3.5%
요양병원
3.5%
한방병원
3.6%
□(비급여 항목) 비급여 보험금8.0조원으로 전년(7.9조원) 대비 2.0% 증가
◦’22년 백내장 대법원 판결 등으로 인해 다소 감소하였던 비급여 지급보험금다시 증가세전환
◦한편, 코로나 방역조치 완화 후 호흡기 질환 증가 등으로 비급여 주사료(28.9%)가 가장 높은 비중차지
비급여 실손보험금 상위 5개 항목별 비중
’21년
’22년
’23년
항목
비중*
항목
비중*
항목
비중*
근골격계질환 치료 (도수치료 등)
25.8%
근골격계질환 치료 (도수치료 등)
26.2%
비급여 주사료 (병·의원급)
28.9%
비급여 주사료 (병·의원급)
21.8%
비급여 주사료 (병·의원급)
23.5%
근골격계질환 치료 (도수치료 등)
28.6%
백내장 다초점렌즈 삽입술(병·의원급)
12.9%
백내장 다초점렌즈 삽입술(병·의원급)
9.5%
질병치료 목적의 교정치료
3.1%
질병치료 목적의 교정치료
2.4%
질병치료 목적의 교정치료
2.5%
재판매가능치료재료
2.0%
재판매가능치료재료
1.8%
재판매가능치료재료
2.2%
하지정맥류
1.6%
* 해당 년도 비급여 보험금 대비 각 항목별 보험금의 비중

4.감독방향

□무릎줄기세포주사 등 신규 비급여 항목이 계속 출현하는 등 전체 실손보험금비급여여전히 높은 비중 차지
실손보험이 국민의 사적 안전망 역할지속할 수 있도록 보험금 누수 방지 및 다수의 선량한 계약자 보호를 위한 제도개선 등을 계속 추진
◦한편, ’24.7월부터 개시되는 4세대 비급여 보험료 차등제군 장병 실손의료보험 중지제도의 안정적 정착지원하고,
정당보험금 청구에 대하여는 신속하게 지급되도록 감독강화할 계획

붙임1 >실손보험 판매회사 현황

’23년말 기준 총 17개사
생보사(7)
한화, 삼성, 흥국, 교보, 농협, DB, 동양
손보사(10)
메리츠, 한화, 롯데, MG, 흥국, 삼성, 현대, KB, DB, 농협
실손보험 상품별 판매 현황
회사명
4세대
노후
유병력자
단체실손
생보사
한화
삼성
흥국
교보
농협
DB
동양
손보사
메리츠
한화
롯데
MG
흥국
삼성
현대
KB
DB
농협
주) 판매 중단 :
[손보] 악사(’12.4월), 에이스(’13.4월), AIG(’17.4월)
[생보] 라이나(’11.7월), 오렌지(’12.12월), AIA(’14.11월), 푸본현대(’17.9월), KDB(’18.2월), DGB(’18.6월), KB(’18.7월), 신한(’20.11월), 미래에셋(’21.2월), ABL(’21.6월)

붙임2> 실손보험 보험손익 현황

(단위 : 억원)
구분
’19년
’20년
’21년
’22년
’23년
생보
1세대
△82
△123
△28
20
△18
2세대
△1,534
△1,167
△1,395
1,071
1,346
3세대
△96
△211
△458
△637
△1,078
4세대
-
-
△20
△69
△292
노후
4
2
7
11
7
유병력자
120
185
200
194
125
소계
△1,587
△1,314
△1,694
591
91
손보
1세대
△11,400
△12,715
△13,357
△8,447
△7,716
2세대
△11,443
△10,250
△10,317
△2,759
△2,515
3세대
△1,250
△1,556
△3,822
△4,698
△8,055
4세대
-
-
△199
△949
△2,306
노후
13
15
19
23
22
유병력자
535
812
788
938
743
소계
△23,546
△23,695
△26,887
△15,892
△19,829
전체
1세대
△11,482
△12,838
△13,384
△8,426
△7,734
2세대
△12,978
△11,417
△11,712
△1,687
△1,169
3세대
△1,346
△1,768
△4,280
△5,335
△9,133
4세대
-
-
△220
△1,018
△2,597
노후
17
17
27
34
29
유병력자
655
998
987
1,132
867
소계
△25,133
△25,009
△28,581
△15,301
△19,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