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특약 이렇게 선택하세요!

여러분은 보험특약 선택을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혹시 보험 설계사가 추천해 준 대로 그냥 가입하시나요?
아니면, 스스로 꼼꼼히 따져보지만 정보 부족으로 아쉬운 선택을 하셨던 적이 있으신가요?
보험은 단순한 소비가 아닙니다.
20년 이상 장기적으로 납입해야 하는 고가의 상품으로, 웬만한 자동차 한 대 값에 해당합니다.
자동차를 살 때는 꼼꼼히 비교하고 시승까지 하면서 따져보시죠?
그런데 보험은 복잡하고 어렵다는 이유로 그냥 넘어가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제부터는 달라지셔야 합니다!
오늘 제가 보험특약 선택의 3가지 핵심 기준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기준만 알고 계시면, 후회 없는 선택을 하실 수 있습니다.

필수특약: 반드시 가져가야 할 보장

보험 가입 시 가장 기본적으로 챙겨야 할 특약입니다.
자동차 앞 유리 와이퍼가 없다면 비, 눈오는 날 운전을 할 수 없죠.
예를 들어, 암 보장은 필수입니다. 왜일까요?
암은 전 연령대에서 사망원인 1위입니다.
심장질환(2위)이나 폐렴(3위)보다도 훨씬 높은 사망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3년 주요 사망원인 :

순위
사망원인
사망률
1
악성신생물(암)
166.7
2
심장 질환
64.8
3
폐렴
57.5
4
뇌혈관 질환
47.3
5
고의적 자해(자살)
27.3
6
알츠하이머병
21.7
7
당뇨병
21.6
8
고혈압성 질환
15.6
9
패혈증
15.3
10
코로나19
14.6
남녀 구분해서 봐도 압도적 입니다.
남자는 기대수명 79.9세 까지 생존 시 암발생확률이 37.7%
여자는 기대수명 85.6세 까지 생존 시 암발생확률이 34.8%
남자는 5명 중 2명, 여자는 3명 중 1명이 암(癌) 진단 (국가암등록통계 2023)
특히, 암뿐만 아니라 뇌혈관 질환심장질환도 한국인 주요 사망원인으로 꼽힙니다.
이 세 가지를 묶어 흔히 "한국인의 3대 질환"이라고 부르죠.
따라서, 암·뇌·심에 대한 보장은 꼭 준비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만일, 여성이라면 치매간병에 대한 보장이 필수일 수 있습니다. 여성은 사망원인 5위가 ‘알츠하이머’ 병입니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가장 흔한 형태로, 전체 치매 사례의 60-80%를 차지하는 진행성 신경퇴행성 질환
남성은 여성 사망원인 10위내에 없는 ‘간질환’이 비중이 높아 이에 대한 대비
또한, 후유장해 특약, 사망 특약, 그리고 배상책임 특약도 필수적으로 챙기셔야 합니다.
특히 ‘배상책임 특약’은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배상책임을 보장합니다.
예시:
우리 집 누수로 아래층에 피해를 줬을 때
반려견이 행인을 물었을 때
자전거 사고로 타인에게 피해를 입혔을 때
‘일배책특약’은 월 1~2천 원 정도의 저렴한 비용으로 최대보상 1억까지 큰 리스크를 대비할 수 있습니다.

좋은 특약: 있으면 더 좋은 보장

필수는 아니지만, 있으면 여러모로 유용한 특약들입니다.
자동차 블랙박스는 필수라고 볼 수도 있지만, 없어도 자동차 운행에는 아무 지장이 없죠..
하지만 사고시 블랙박스는 결정적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으로 질병 및 상해수술비, 간병인 특약, 골절진단비 등이 있습니다.

예시: 질병수술비 특약

실손보험 개편 이후, 실손보험을 대체하는 중요한 특약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자궁근종, 대장용종 절제 등 경미한 수술부터 암·심장 등 중대질병 수술까지 폭넓게 보장합니다.
1~5종 및 N대 질병수술비 특약은 특정 수술에 따라 보험금이 차등지급되며, 중증 고액 수술시에는 고액의 보험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빈도 수술 질환 순위(국민건강보험 주요수술통계연보_2023)

순위
질환명 (코드)
1위
노년백내장 (H25)
2위
치핵 및 항문 주위 정맥혈전증 (K64)
3위
담석증 (K80)
4위
기타 백내장 (H26)
5위
무릎관절증 (M17)
6위
급성충수염 (K35)
7위
기타 추간판장애 (M51)
8위
기타 척추병증 (M48)
9위
협심증 (I20)
10위
제왕절개에 의한 단일분만 (O82)
11위
요추 및 골반의 골절 (S32)
12위
사타구니탈장 (K40)13위
13위
알려진 또는 의심되는 불균형에 대한 산모 관리 (O33)
14위
갑상선의 악성신생물 (C73)
15위
유방의 악성신생물 (C50)
16위
간 및 간내 담관의 악성신생물 (C22)
17위
급성심근경색증 (I21)
18위
골반기관의 알려진 또는 의심되는 이상에 대한 산모 관리 (O34)
19위
만성부비동염 (J32)
20위
편도 및 아데노이드의 만성질환 (J35)
이 외에도 간병인 사용 및 지원 특약등은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큰 도움이 됩니다.

선택특약: 특별한 상황에 맞춘 보장

개인의 상황과 기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져갈 수 있는 특약입니다. 자동차 선루프 등 옵션은 개인 취향에 따라 선택해서 가져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각막이식수술비, 조혈모세포이식수술비 등 흔하지 않지만 고액의 보험금을 받을 수 있는 특약으로 보험료 저렴.
입원일당 특약: 입원 시 매일 일정 금액(예: 3만 원)을 지급받는 보장. 간호간병통합병동 입원비.
최근 화제가 된 상급종합병원 1인실 특약(60만 원): 편안한 치료 환경을 원하는 분들에게 적합
이러한 선택특약은 보험료가 다소 높을 수 있지만, 본인의 필요와 상황에 따라 충분히 고려할 만합니다.

요약: 후회 없는 보험 설계를 위한 세 가지 기준

꼭 필요한 필수특약: 암, 뇌혈관, 심장질환 등 반드시 대비해야 할 리스크
있으면 좋은 추가특약: 질병수술비, 간병인 지원 등 실질적인 도움 제공
특별할 때 활용하는 선택특약: 대학병원 1인실 특약 등. 개인 상황에 맞춘 맞춤형 보장
물론, 누구에게는 치매 간병보장이 필수특약이 될 수 있고,
누군가는 후유장해 보장이 좋은 특약이 될 수도 있습니다.
처자식을 부양하는 가장에게는 사망보장이 필수특약이 될 수 있지만,
1인 가구는 사망보장 보다는 간병보장이 필수일 수 있습니다.
이는 각 개인의 가족 및 재무상황, 본인의 건강상태 , 생활습관 등에 따라
특약선택의 구분은 달라질 수 있으며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
보험은 단순히 "가입"하는 것이 아니라, 내 삶과 미래를 위한 "준비"이며 ‘안전장치’ 입니다.
여러분의 상황에 맞춰 현명하게 선택하세요~ ** 상기내용은 모집종사자 개인의견으로 계약내용에 따른 손익은 보험계약자 및 피보험자에 귀속됩니다.